국화과 식물 알아보기 3번째입니다. 이번에도 노란색 꽃이 피는 국화과 식물에 대하 알아보겠습니다. 금떡쑥, 떡쑥, 뚱딴지, 미국가막사리, 개민들레입니다.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고 어디에서 많이 볼 수 있는지 알아가시기 바랍니다.
금떡쑥
금떡쑥은 국화과 식물로 한해살이풀입니다. 들에서 키가 30~50cm까지 자라며 윗부분쪽 가지가 벌어지고 솜털에 싸인다. 잎은 다닥다닥 어긋나고 선형입니다. 밑부분이 원줄기를 얼싸안고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솜털이 빽빽하다. 꽃은 8~10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두상화 여러 송이가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산방화서로 달립니다.
열매는 긴 타원형 수과이고 흰색 관모와 잔점이 있으며 10월에 익습니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으로도 사용합니다.
떡쑥
떡쑥은 노란꽃이 피는 국화과 식물로 두해살이풀입니다. 산과 들에서 키가 15~40cm 정도로 자랍니다. 줄기 전체가 흰색털로 덮이며 밑동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포기를 이룹니다. 잎은 어긋나고 주걱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꽃은 5~7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원줄기 끝에 산방상 두상화서로 쌀알처럼 달립니다. 총포는 둥근 종 모양이고 포비늘은 누런 빛이 돕니다. 열매는 수과이고 황갈색으로 익습니다. 지상부를 약재로 씁니다. 옛날에 이른 봄 3월 3일에 이 풀을 뜯어 떡을 빚어 어머니와 아들이 먹었다고 해서 '모자떡'이라고도 부릅니다.
뚱딴지
뚱딴지는 국화과 식물로서 노란꽃이 핍니다. 여러 살이 해 풀이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입니다. 키는 1.5~3m까지 자랍니다. 줄기에 억센 털리 있습니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고 끝이 뾰족한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8~10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립니다. 열매는 수과이고 덩이줄기를 식용으로 씁니다.
덩이줄기가 감자처럼 생겼지만 수분이 많이 질이 무르고 익히면 질척거려 돼지나 먹을 수 있는 감자라는 뜻으로 '돼지감자'라고 한다.
미국가막사리
미국가막사리는 노란색 꽃이 피는 국화과 식물로 한해살이풀입니다. 습지에서 키가 1m 정도로 자랍니다. 줄기는 사각형이고 골 속은 흰색입니다. 잎은 마주나고 깃꼴겹잎입니다. 작은 잎은 3~5개이고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9~10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두화로 달려 원추화서를 이룹니다.
두화는 겉에 잎 같은 총포가 6~10개가 있습니다. 관모는 가시가 있고 2개입니다. 열매는 편평한 수과이고 끝에 가시 모양의 관모가 2개 있으며 10월에 익습니다.
개민들레
개민들레는 노란색 꽃이 피는 국화과 식물로서 여러살이해풀입니다. 들판의 풀밭에서 키가 30~50cm까지 자랍니다. 밑동에서 나는 잎은 피침형이고 민들레 잎처럼 땅에 퍼집니다. 꽃은 5~6월에 노란색 두상화로 피고 민들레와 닮았습니다. 열매는 수과이고 가시털이 밀생합니다.
유럽에서 들어온 귀화식물이고 제주도 해발 50m 이하의 초지에 널리 퍼져 있는데 퇴치하기 어려운 잡초입니다.
결론
국화과 식물로 금떡쑥, 떡쑥, 뚱딴지, 미국가막사리, 개민들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키가 작은 것은 15cm, 키가 큰 뚱딴지는 3m까지 자란다니 천차만별입니다. 식재로 쓰이는 것도 있고 잡초 취급당하는 것도 있어서 재밌습니다.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색 꽃으로 물든 봄의 아름다움 (백합, 히야신스, 흰철쭉, 물망초) (0) | 2024.03.21 |
---|---|
국화과 식물 정리 (민들레 | 산민들레 | 흰노랑민들레 | 밀짚꽃) (0) | 2024.03.20 |
국화과 식물 특징 | 긴담배풀 | 두메담배풀 | 기생초 | 도깨비바늘 | 도꼬마리) (1) | 2024.03.19 |
노란색 꽃이 피는 국화과 식물 7가지 종류 (3) | 2024.03.19 |
국화과 식물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