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65세 이상이라면 매월 휴대폰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어르신들이 꼭 알아야 할 핸드폰 요금 할인 제도와 신청 방법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만 65세 이상 핸드폰 요금 할인 대상
만 65세 이상 고령자는 누구나 기본적으로 핸드폰 요금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기초연금 수급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경우 추가 할인 혜택도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초연금 수급자는 월 통신비가 22,000원 이하일 경우 50% 할인(최대 11,000~12,100원 감면)을 받을 수 있으며, 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의료급여 수급자는 월 최대 26,000원, 주거·교육급여 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은 최대 11,000원을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할인은 SKT, KT, LG U+는 물론 알뜰폰(MVNO) 가입자도 모두 적용됩니다.
- 만 65세 이상: 월 11,000원 할인
- 기초연금 수급자: 통신비 50% 감면(최대 11,000~12,100원)
- 기초생활수급자: 월 최대 26,000원 감면
- 차상위계층: 월 최대 11,000원 감면
- 통신 3사 및 알뜰폰 모두 신청 가능
통신사별 65세 이상 어르신 요금제 혜택
통신사 | 요금제명 | 기본 제공 혜택 |
---|---|---|
SKT | T 시니어 | 기본요금 할인, 데이터 1.5GB |
KT | LTE 어르신/시니어 라이트 | 통화 무제한, 유튜브 중심 요금제 |
LGU+ | 행복한 시니어 | 음성·문자 무제한, 데이터 1GB |
알뜰폰 | 노인 맞춤 요금제 | 저렴한 기본료, 데이터 2GB |
이 외에도 5G 시니어 요금제가 있으며, 약정 할인 적용 시 2~3만 원대에 이용 가능합니다. 통화와 데이터 외에도 디지털 교육, 보이스피싱 방지 서비스, 시니어 전용 상담 등 다양한 부가 혜택이 제공됩니다.
핸드폰 요금 할인 신청 방법
- 통신사 대리점 방문 후 신청
- 통신사 고객센터 전화 신청
- 복지로(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 주민센터 방문 신청(복지대상자 연계 시)
- 알뜰폰 가입자도 동일하게 신청 가능
신청 시 신분증과 기초연금,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류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택 약정 할인과 복지 할인 중복 적용
통신 3사 고객이라면 선택 약정 할인(25%)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선택 약정 할인은 기간이 끝나면 자동 연장이 되지 않으므로 재신청이 필요합니다. 복지대상자로 등록되면 통신사와 자동 연계되어 매월 요금 감면이 적용됩니다. 요금 할인은 기본료, 음성·데이터 통화료 등에 적용되며, 인터넷 결합상품 이용 시 월 최대 30,000원까지 추가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65세 이상 요금 할인 혜택 요약
- 만 65세 이상: 월 11,000원 할인
- 기초연금 수급자: 통신비 50% 감면(최대 11,000~12,100원)
- 기초생활수급자: 월 최대 26,000원 감면
- 차상위계층: 월 최대 11,000원 감면
- 통신 3사 및 알뜰폰 모두 신청 가능
요약정리
만 65세 이상이라면 통신사나 알뜰폰에서 월 11,000원 이상의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는 최대 12,100원, 기초생활수급자는 최대 26,000원까지 감면됩니다. 신청은 통신사 대리점, 고객센터, 복지로, 주민센터에서 가능하며, 시니어 요금제와 결합하면 통화·데이터 혜택도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 할인과 부가 서비스를 모두 활용해 매월 통신비를 절약해보세요.
자주묻는질문
1. 알뜰폰을 사용해도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나요?
네, 알뜰폰(MVNO) 가입자도 동일하게 요금 할인 신청 및 적용이 가능합니다.
2. 기초연금 수급자 할인과 선택 약정 할인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네, 복지 할인과 선택 약정 할인(25%)을 중복 적용할 수 있습니다.
3. 요금 할인 신청 후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신청 즉시 혹은 다음 달 요금 청구분부터 할인 적용이 시작됩니다.